
Q. 어느 학교, 과정에 합격했나요? 그리고 소감 한마디
Central Saint Martins (UAL) – BA (Hons) Graphic Communication Design
London College of Communication (UAL) – BA (Hons) Graphic and Media Design
Kingston University – BA (Hons) Graphic Design에 합격했습니다.
원하던 학교에서 제가 정말 좋아하는 분야를 공부할 수 있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Q. 영국 유학을 결심한 결정적인 계기는 무엇인가요?
한국에서 여러 번 입시를 준비하면서, 점점 제가 원하는 교육 방식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반복된 입시 경험을 통해 단순히 시험을 잘 보는 것보다, 더 자유롭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배우고 싶다는 마음이 커졌습니다. 특히 예술 분야에 대한 관심이 많았고,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한 영국에서의 공부가 더욱 흥미롭게 느껴졌어요. 그래서 유학을 결심하게 되었고, 새로운 입시 방식을 통해 저의 목표를 찾고 싶었습니다.
Q. HANA School of Arts에서 준비하기로 결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준비하던 입시가 끝난 후 원하는 학교의 학과에 진학하기 위해 다시 도전할지 고민했지만, 한국의 입시 방식에 점점 지쳐가고 있다는 걸 느꼈어요. 그러던 중, 하나스쿨에서 파운데이션 과정을 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유학 준비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바로 영국으로 떠나지 않고, 1년 동안 한국에서 파운데이션을 들을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었고, 언어적인 부담도 덜 수 있을 것 같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Q. HANA School of Arts에서 진행했던 프로젝트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은? 이유는?
Term 3의 마지막 프로젝트였던 ‘Through the eyes’가 가장 마음에 들어요. 전공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였고, 그동안 작업의 수가 늘어날수록 ‘더 많은 것을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도 커졌어요. 이전 작업에서는 시각적으로 무언가를 보여주는 데 집중했다면, 이번에는 제가 평소 바라보던 세계를 주제로 삼았기 때문에 더 편하게, 제가 표현하고 싶었던 것들을 자연스럽게 담을 수 있었습니다.
3D 그래픽 툴을 좋아하는 저의 강점을 살려, 새로 배운 툴들과 기존에 사용하던 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재미있는 이미지를 만들 수 있었던 것도 만족스러웠어요. 주제는 하나의 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물들의 시야였고, 각각의 1인칭 시점을 중심으로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이전 프로젝트에서 느꼈던 아쉬움을 보완하고자 다양한 재료를 활용했으며, 직접 거리로 나가 사진을 촬영하면서 리서치 방법도 배울 수 있었던 점이 특히 기억에 남습니다.

Q. HANA School of Arts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하나스쿨의 체계적인 커리큘럼과 튜토리얼 덕분에 제가 정말 좋아하는 분야를 찾을 수 있었다고 생각해요. 저는 입학 전까지 명확한 희망 전공이 없었기 때문에, Term 1 동안 4가지 전공을 모두 경험해 본 시간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각 전공을 2주간 체험하며 모든 수업에 최선을 다했고, 마지막에는 어떤 전공에서 가장 즐겁고 몰입했는지를 스스로 되돌아봤어요. 그 결과, 그래픽 작업이 가장 재미있었고, 컴퓨터 같은 전자기기를 활용해 제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 잘 맞는다고 느껴서 Graphic Communication 전공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또, 작업이 잘 풀리지 않거나 전공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길 때, 선생님들과 상담을 통해 방향을 잡고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었던 점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Q.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HANA School of Arts 학생들에게 조언을 한다면?
부담 없이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것들을 작업에 담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저도 ‘무언가를 보여줘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낄 때 작업이 오히려 잘 안 됐던 것 같아요. 작업 중 어려움이 생기거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선생님들에게 질문하고 조언을 구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좋은 방법이에요.
특히, 모든 작업은 마지막 마무리 단계에서 체력과 집중력이 많이 필요하니, 시간 분배를 잘해서 무리하지 않고 계획적으로 진행하는 걸 추천합니다.
Q. 앞으로의 계획과 목표는 어떻게 되나요?
아직 구체적인 목표는 정하지 않았지만, 앞으로 다양한 툴과 표현 방법을 배우면서 제가 어떤 것을 좋아하고, 어떤 분야에서 일하고 싶은지 차근차근 찾아가고 싶어요.